

































나무 직사각 쟁반 a1(조선 시대, 서기 1392년–1897년)
세금 별도. 수입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는 결제 시 계산됩니다.
이것은 조선 시대의 견고한 나무 쟁반으로, 차를 제공하기에 완벽한 크기의 드문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된 흔적이 있으며, 나무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아름다운 파티나가 있습니다. 상태는 우수합니다. 이 쟁반은 일상적인 다도에 독특한 작품을 찾는 분들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w32 x d46.5 x h3.3 cm
상품 사진이 다수 게시되어 있으니, 상태와 세부 사항을 꼭 확인해 주세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조선(1392–1897)은 약 5세기에 걸쳐 한반도를 통치한 왕조로, 단순한 왕위 계승의 역사라기보다는 하나의 사상 체계가 사회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었던 시대였습니다. 조선은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아 제도, 교육, 생활 방식에 이르기까지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윤리와 절제’, ‘질서와 성실’이라는 가치를 덕목으로 삼아 사회의 미적 감각과 사물에 대한 가치관 역시 그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시대의 미의식은 외형적 화려함이나 기술적 정교함보다는, 인간의 내면을 조용히 지지하는 형태와 존재 방식에 무게를 두었습니다. 기물과 가구는 단순히 실용적인 도구가 아닌, 일상의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정돈하는 하나의 ‘도장(道場)’과 같은 공간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선비의 서재에 놓인 소박한 항아리, 절제된 책상, 장식 없는 필갑 등은 단순히 시선을 끄는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자세와 사유를 비추는 거울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조선 시대의 공예품이 ‘과하지 않은 존재감’을 지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그것들은 인간의 정신성과 나란히 걸어가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보는 이를 압도하기보다는 함께 호흡하고, 조용히 균형을 찾아주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자의 경우, 유약의 미세한 흐름, 태토의 떨림, 형태의 약간의 일그러짐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현상’조차 그대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이러한 태도 속에는 완전함과 균일함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근대적 미의식과는 다른, 훨씬 넓은 수용의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다. 그것은 자연과 인위, 아름다움과 불완전함, 사물과 마음 사이의 경계를 다시 묻는 것으로, 단순한 공예 기술을 넘어 하나의 시대 정신을 드러내는 표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조선의 미는 굳이 말하자면 ‘과시의 미’가 아니라 ‘공명의 미’였습니다. 그것은 사물 그 자체의 매력이라기보다는, 그 사물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 어떻게 존재해야 할지를 되묻게 만드는 계기였습니다. 그렇기에 사물은 너무 많은 말을 해서는 안 되었고, 여백과 간극, 침묵을 품고 있어야 했습니다. 이러한 사유는 조선 공예의 깊은 뿌리 속에 흐르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이러한 가치관은 훗날 바다를 건너 일본에도 깊이 뿌리내리게 됩니다. 특히 다도의 세계에서는, 조선의 백자와 분청사기가 이미 모모야마 시대 말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중국 수입품의 장중한 위엄과는 또 다른 소박하고 조용한 멋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말하지 않는 것에 귀 기울인다’는 다도의 미학은 조선 기물이 품은 침묵과 불완전함과 깊은 공명을 이루었고, 와비사비(wabi-sabi)의 정신으로 이어지는 시선을 길러냈습니다.
근대에 들어서는 야나기 무네요시와 가와이 간지로 같은 민예 운동의 사상가들이 조선의 기물에서 ‘인간을 정화하는 힘’, ‘마땅히 그래야 할 삶의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공예가 잊혀져 가던 시대에, 그것들은 단순한 고물이 아닌 존재의 방식 그 자체를 비추는 것으로, 깊은 공감과 존경 속에 받아들여졌습니다.
오늘날 살아가는 내가 조선 시대의 공예품을 마주할 때, 그 고요함에 다시금 마음이 움직입니다. 그 안에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를 묻는 한 시대의 사상이 깃들어 있으며, 그 조용한 목소리는 지금도 변함없이 우리에게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이 시대의 미의식은 외형적 화려함이나 기술적 정교함보다는, 인간의 내면을 조용히 지지하는 형태와 존재 방식에 무게를 두었습니다. 기물과 가구는 단순히 실용적인 도구가 아닌, 일상의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정돈하는 하나의 ‘도장(道場)’과 같은 공간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선비의 서재에 놓인 소박한 항아리, 절제된 책상, 장식 없는 필갑 등은 단순히 시선을 끄는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자세와 사유를 비추는 거울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조선 시대의 공예품이 ‘과하지 않은 존재감’을 지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그것들은 인간의 정신성과 나란히 걸어가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보는 이를 압도하기보다는 함께 호흡하고, 조용히 균형을 찾아주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자의 경우, 유약의 미세한 흐름, 태토의 떨림, 형태의 약간의 일그러짐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현상’조차 그대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이러한 태도 속에는 완전함과 균일함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근대적 미의식과는 다른, 훨씬 넓은 수용의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다. 그것은 자연과 인위, 아름다움과 불완전함, 사물과 마음 사이의 경계를 다시 묻는 것으로, 단순한 공예 기술을 넘어 하나의 시대 정신을 드러내는 표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조선의 미는 굳이 말하자면 ‘과시의 미’가 아니라 ‘공명의 미’였습니다. 그것은 사물 그 자체의 매력이라기보다는, 그 사물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 어떻게 존재해야 할지를 되묻게 만드는 계기였습니다. 그렇기에 사물은 너무 많은 말을 해서는 안 되었고, 여백과 간극, 침묵을 품고 있어야 했습니다. 이러한 사유는 조선 공예의 깊은 뿌리 속에 흐르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이러한 가치관은 훗날 바다를 건너 일본에도 깊이 뿌리내리게 됩니다. 특히 다도의 세계에서는, 조선의 백자와 분청사기가 이미 모모야마 시대 말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중국 수입품의 장중한 위엄과는 또 다른 소박하고 조용한 멋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말하지 않는 것에 귀 기울인다’는 다도의 미학은 조선 기물이 품은 침묵과 불완전함과 깊은 공명을 이루었고, 와비사비(wabi-sabi)의 정신으로 이어지는 시선을 길러냈습니다.
근대에 들어서는 야나기 무네요시와 가와이 간지로 같은 민예 운동의 사상가들이 조선의 기물에서 ‘인간을 정화하는 힘’, ‘마땅히 그래야 할 삶의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공예가 잊혀져 가던 시대에, 그것들은 단순한 고물이 아닌 존재의 방식 그 자체를 비추는 것으로, 깊은 공감과 존경 속에 받아들여졌습니다.
오늘날 살아가는 내가 조선 시대의 공예품을 마주할 때, 그 고요함에 다시금 마음이 움직입니다. 그 안에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를 묻는 한 시대의 사상이 깃들어 있으며, 그 조용한 목소리는 지금도 변함없이 우리에게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Yoshiki Umemori / ROCANIIRU
옵션 선택


































나무 직사각 쟁반 a1(조선 시대, 서기 1392년–1897년)
할인 가격₩735,000
세금 별도. 수입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는 결제 시 계산됩니다.